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좌골신경통 요통

안녕하세요. 울산 혁신도시 중구 유곡동 새서울한의원 한의사 이은수 입니다. 울산혁신도시 근처에는 다운동 태화동 우정동 성안동 이 있습니다. 이예로가 개통되어 남구 무거동 옥동이나 범서 천상에서도 가까워졌습니다. 오늘은 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좌골신경통 요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척추관협착증 이란?

척추가운데에 있는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관(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을 누르는 질환입니다.

협착증 이라고도 합니다.

2. 척추관협착증의 증상

척추관협착증의 특징적인 증상은 ‘간헐파행’ 입니다.

‘간헐파행’이란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는 아무 증상이 없다가 걷기 시작하면 저리고 아파서 걷지 못하는 것입니다.

잠시 앉아 있거나 허리를 숙이면 척추관이 넓어져서 증상이 완화되고 다시 걸을 수 있습니다.

3. 척추관협착증의 원인

척추관이 좁아지는 대부분의 이유는 퇴행성변화(노화) 입니다.

노화로 인해 인대나 뼈등이 자라나서 척추관을 좁게 만듭니다.

물론,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거나 감염 등 다른 이유로 척추관이 좁아질 수도 있지만 대개는 퇴행성변화가 원인입니다.

4. 척추관협착증의 치료

퇴행성변화는 디스크질환과는 달리 불가역적인 변화로 한번 좁아진 척추관은 넓히기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한약, 약침, 전자뜸, 불부항, 습부항, 한방물리치료, 전기침 등을 통해 신경염증을 제거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주위의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켜 협착증이 진행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특히, 한의학에서 보는 퇴행성질환의 주 원인은 음혈(陰血)의 감소 이므로 진맥을 하고 몸에 맞춰 한약을 복용하면 더욱 좋습니다.

가까운 한의원을 방문하여 건강하고 풍요로운 한의학을 경험해보기 바랍니다.

5. 척추관협착증의 예방

노화와 함께 진행되는 퇴행성변화를 막을 수는 없지만 늦추는 것은 가능합니다.

평소 허리가 뻐근하거나 통증이 있을 때 퇴행성변화가 빨리 진행되므로 허리디스크, 요통, 좌골신경통 등 허리의 통증질환이 있을 때 바로 치료하여 음혈이 감소하지 않도록 하면 척추의 퇴행성변화를 막을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