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장애

안녕하세요. 울산 혁신도시 중구 유곡동 새서울한의원 한의사 이은수입니다.

오늘은 성장장애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한의학적으로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1. 성장장애란?

성장장애 란 같은 나이 같은 성별을 가진 사람들 평균키의 하위 3%에 속하거나, 성장판이 닫히기 전인 청소년기에 1년동안 4㎝이하로 자라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러나 요즘은 키가 작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에 비하여 작다고 생각하는 상대적성장장애 를 느끼는 사람이 많은 것이 문제입니다.

  1. 성장장애의 원인

1) 가장 큰 원인은 유전입니다. 그렇지만 성장기에 성장이 촉진되도록 잘 관리한다면 추가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성장장애로 한의원을 찾는 경우 소화불량, 식욕부진, 설사, 복통 등의 소화기 증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잦은 감기로 고생하거나 기관지염, 비염 등 호흡기 허약 증상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장육부의 선천적인 허약, 후천적인 잘못된 관리 등은 성장장애를 일으킵니다.

3) 성조숙증은 키 성장을 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게 합니다.

부모의 키가 큰데도 불구하고 자녀의 키가 작은 경우 이런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환경오염물질, 잘못된 식습관, 운동부족 등은 장부를 허약하게 하고 성조숙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1. 성장장애의 치료

1) 치료시기가 중요합니다.

2세 이하의 제1차성장급진기, 사춘기의 제2차성장급진기 에는 단기간에 많은 키성장을 합니다. 그러나 사춘기 이후에 성장판이 닫히게 되면 키성장을 거의 하지 않습니다.

2) 저체중으로 태어나거나 신생아황달, 설사 등 질병으로 영아기에 고생을 한 경우에는 1차성장급진기에 성장을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성장이 지연되지 않도록 허약한 장부를 보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1차성장급진기 이후 사춘기 전까지는 일년에 5~6cm 성장을 합니다. 이 이하로 성장이 정체된다면 소화기질환, 호흡기질환등 장부허약으로 인한 동반질환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동반질환이 치료될 수 있도록 키크는 맞춤 한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부허약은 허열(虛熱)로 인한 성조숙증을 일으킵니다.

4) 사춘기(초경 혹은 몽정)가 시작되면 2차성장급진기에 접어들게 되고 많은 성장을 합니다. 그러나 대개 2년에서 2년반 사이에 성장판이 닫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때 키성장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성장한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사춘기가 끝나고 성장판이 닫히면 성장은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뼈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성장한약을 복용하면 20대 초반까지는 약간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키크는 음식

1) 성장장애를 겪고 있는 대부분의 청소년은 소화기가 허약합니다.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이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2) 성조숙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것은 환경호르몬, 식물성여성호르몬 등입니다. 식물성여성호르몬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1. 키크는 운동

1) 근육을 키워 뼈를 서로 잡아당기는 운동보다는 뛰어서 뼈의 끝에 있는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운동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구기운동과 뛰어 다니는 운동이 성장에 좋습니다.

2) 그리고 운동후에는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운동을 너무 과하게 하면 기혈을 소모하여 노역상 등으로 장부를 허약하게 합니다. 체력에 맞추어 피곤하지 않을 정도로 운동을 하고 운동후에는 충분한 휴식과 수면으로 기혈을 보충해야 합니다.

  1. 성장장애와 한의학

1) 선천지기(先天之氣)가 부족한 경우와 후천지기(後天之氣)가 허약한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2) 스마트폰, 컴퓨터 등에 많이 노출되거나, 지나친 운동, 과한 학습, 수면부족 등은 노역상(勞役傷)으로 기혈(氣血)을 허하게 합니다.

3) 학업 등 성장기에 받는 스트레스는 기체(氣滯), 식체(食滯) 등으로 소화장애 식욕부진 등을 유발합니다.

4) 사춘기의 과한 야동시청, 자위 등은 정혈(精血) 부족으로 성장장애를 일으킵니다.


댓글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