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치여론 格致餘論 음식잠 飮食箴 색욕잠 色欲箴

안녕하세요.

울산 혁신도시 중구 유곡동 새서울한의원 한의사 이은수 입니다.

오늘은 단계 ( 주진형 )선생님의 격치여론 ( 格致餘論 ) 에 실려 있는 음식잠 飮食箴 색욕잠 色欲箴 을 번역해서 포스팅합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병에 걸리고 치료하는 이유는 같습니다.

사람이 병이 들고 몸이 아픈 이유는 욕심( 음식욕 성욕 과로 ) 때문입니다.

음식색욕잠서(飮食色欲箴序)

傳曰 飮食男女 人之大欲存焉 予每思之 男女之欲 所關甚大 飮食之欲 於身尤切 世之淪胥陷溺於其中者 盖不少矣 苟志於道 必先於此 究心焉 因作飮食色欲二箴 以示弟侄 幷告諸同志云

전(傳)에서 말했다.

‘음식과 남녀에 사람의 큰 욕심이 있구나!’

나는 항상 생각했다. 남녀의 욕심이 관련된 것이 매우 크고 음식의 욕심이 몸에는 더욱 절실하다. 세상에는 앞 다투어 그 속에 빠지는 사람들이 대개 적지 않구나! 진실로 세상의 도리에 뜻을 둔 사람은 반드시 이것에 먼저 마음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음식 색욕 두 개의 잠언을 만들어서 어리석은 아우들에게 보여주고 뜻을 같이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알리노라!

음식잠(飮食箴)

人身之貴 父母遺體 爲口傷身 滔滔皆是

人有此身 饑渴洊興 迺作飮食 以遂其生

睠彼昧者 因縱口味 五味之過 疾病蜂起

病之生也 其機甚微 饞涎所牽 忽而不思

病之成也 飮食俱廢 憂貽父母 醫禱百計

山野貧賤 淡薄是諳 動作不衰 此身亦安

均氣同體 我獨多病 悔悟一萌 塵開鏡淨

曰節飮食 易之象辭 養小失大 孟子所識

口能致病 亦敗爾德 守口如甁 服之無斁

사람 몸이 귀한 건 부모님이 주셨기 때문인데

입을 위해 몸을 상하는 일이 세상에 넘쳐나는구나!

사람은 이 몸이 있어 배고픔과 갈증이 일어나니

이에 음식을 지어 먹고 살아가게 되는구나!

저 어리석은 사람을 보면 맛있는 것만 쫒아가니

음식이 한쪽에 치우쳐 질병이 마구 일어나는구나!

병이 생길 때는 그 조짐이 매우 미약하니

흐르는 침이 끌어당겨 갑자기 생각지도 못하는구나!

병이 이루어지고 나서는 음식을 모두 먹기 힘들어지니

근심이 부모님에게 미쳐 의술과 기도로 정신이 없구나!

세상의 가난하고 비천한 사람이라도 담박(淡薄)이라는 이 말만 명심한다면

움직이고 사는 것이 쇠퇴하지 않고 이 몸도 역시 편안하리라!

같은 기운에 같은 몸을 받았건만 나만 유독 병이 많으니

후회와 깨달음이 싹이 터서 먼지가 걷히고 거울이 맑아졌도다!

말하기를 음식을 절제하라는 것은 주역의 상사(象辭)이며

작은 것을 기르려다 큰 것을 잃음은 맹자의 가르침이라!

입은 병들게 할 뿐만 아니라 넓은 덕도 망쳐버리니

입을 병마개처럼 지켜 실천하다면 재앙이 없으리라!

색욕잠(色欲箴)

惟人之生 與天地參 坤道成女 乾道成男

配爲夫婦 生育攸寄 血氣方剛 惟其時矣

成之以禮 接之以時 父子之親 其要在玆

睠彼昧者 徇情縱欲 惟恐不及 濟以燥毒

氣陽血陰 人身之神 陰平陽秘 我體長春

血氣幾何 而不自惜 我之所生 翻爲我賊

女之耽兮 其欲實多 閨房之肅 門庭之和

士之耽兮 其家自廢 旣喪厥德 此身亦瘁

遠彼帷薄 放心乃收 飮食甘美 身安病瘳

오직 사람이 태어나는 것만 하늘과 땅이 함께 하니

땅의 이치는 여자가 되고 하늘의 이치는 남자가 되었도다!

부부가 짝이 되어 낳고 기르는 것은 때가 있으니

혈기가 바야흐로 왕성해지는 바로 그 때구나!

결혼을 하여 성인이 되고 때에 맞추어 교접을 하니

부모와 자식의 정이 이에 싹트는구나!

저 어리석은 사람을 보면 정을 따르고 욕심을 쫒으니

조독(燥毒)으로부터 건지지 못할까 두렵도다!

기양(氣陽)과 혈음(血陰)은 사람 몸의 신비한 것이니

음을 가지런히 하고 양을 잘 지키면 나의 몸은 오래도록 젊도다!

혈기가 무엇이길래 스스로 아끼지 못하여

내가 낳은 것이 도리어 나의 도적이 되었구나!

여자의 성욕이여 그 욕심이 실로 많으니

몸을 정숙하게 하면 집안과 가정이 화목하리라!

남자의 성욕이여 그 집안이 저절로 무너지며

그 덕이 이미 없어지고 저 몸도 또한 초췌하구나!

저 침실을 멀리하고 놓친 마음을 거두어들이면

음식이 달고 맛있을 것이며 몸도 편안하고 병도 나으리라!


댓글

댓글 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